제 3회 국민대학교 컴퓨터공학부
라인트레이싱 로봇 경진대회
일정 및 장소
- 일정: 11월 17일(목요일) 11:30 ~ 13:30
- 장소: 국민대 체육관
수상
- 대상
- 우수상
- 2개팀 (학년별 1개팀)
- 기념품 및 상장 수여
- 장려상
- 2개팀 (학년별 1개팀)
- 기념품 및 상장 수여
경진대회에 쓰일 트랙코스
- 트랙 완주의 정의: 'START' 지점에서 출발하여, 라인트랙을 따라 진행, 최종적으로 'ㄷ'형태로 장애물이 둘러 쌓인 곳까지 도달한 후, 후진하여 'END' 지점을 통과
자체평가 방법
- 실험용 트랙을 통해 개발중인 로봇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도록 한다.
- 실험용 트랙은 최종 경진대회에 쓰일 트랙과 동일한 트랙이며, 과학관 113호에 상시 배치될 예정임.
- 각팀은 실험 시 트랙이 회손되지 않도록 항상 신경을 쓰며, 자체평가를 수행하도록 한다.
평가방법 및 평가요소
- 평가방법
- 시간으로 점수 unit 단일화 (* 평가요소 참고)
- 최단시간 팀이 우승
- 총 2 라운드의 주행 기회, 각 팀은 한 라운드 당 1번 주행
- 주행순서는 추첨에 의해 결정, 동일순서로 총 2라운드 진행
- 각 팀당 2번의 주행 중 좋은 기록이 그 팀의 최종기록
- 평가요소
- 주행시간
- 사용한 센서 개수
- 로봇 크기
- 자동평가: 라인트랙 상의 장애물 사이를 통과할 만큼 작게 만들 것
- 로봇 무게
- 상대평가: 모든 팀이 제작한 로봇의 무게를 측정, 가벼운 로봇을 만든 팀일 수록 패널티 시간의 추가가 작음
- 가장 가벼운 로봇을 가진 팀의 패널티 시간: 0초
- 순위별 패널티 차이: 0.5초
- 장애물 처리
- 장애물에 닿았으나, 장애물이 쓰러지지 않은 경우: 최종 주행시간에 5초 추가
- 장애물이 닿아, 장애물이 쓰러진 경우: 최종 주행시간에 15초 추가, 지정한 지점에서부터 주행 계속
- 주행불가
- 로봇이 특정상태에 빠져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, 패널티 시간 20초를 추가하고, 가까운 트랙에 강제로 위치시켜 주행 계속
'기말보고서 작성기준'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.
- NXT 프로그래밍 소스코드
- 기말보고서
- 자체평가서
|
|